TELNET 사용법
새롬 데이터맨이나 이야기의 텔넷 모드로 접속하거나,
텔넷 프로그램의 대명사인 NetTerm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접속할 호스트 주소에 고객님의 도메인(예: mydomain.co.kr)을 입력합니다.
접속 뒤, login: 과 Password: 에 서비스 신청시 알려드린
ID와 Password를 각각 입력합니다
비밀번호 변경
비밀번호를 변경하려면 기존 비밀번호와 완전히 다른 번호이어야 합니다
1. 고객의 사이트로 텔넷 연결을 하세요
2.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넣고 로그인을 합니다
3. 텔넷 접속 상태에서 passwd 명령을 입력합니다
(current) passwd 란 메시지가 나오면 현재의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New passwd 란 메시지가 출력되면 원하시는 새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Retype passwd 란 메시지가 나오면 다시한번 새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4. 로그아웃을 하시고 다시 로그인을 하셔서 변경 여부를 확인합니다
하드 사용량 알아보기
하드를 얼마나 사용하고 있을까?
1. 텔넷으로 고객의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로그인 후 "du -s" 를 입력 엔터합니다. (" du" 엔터하시면 각 디렉토리별로 출력됩니다.)
3. 사용량을 검색후 화면 하단에 총 사용 용량이 출력됩니다 (기본 1000 byte)
각 디렉토리별로 하드 사용량을 알 수 있나요?
1. 텔넷으로 고객의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로그인 후 "du ***(원하는 디렉토리 이름)" 를 입력 엔터 합니다
3. 사용량을 검색후 화면 하단에 용량이 출력됩니다 (기본 1000byte)
하드 사용량이 초과하게 되면?
제한되어 있는 하드 사용량이 다 차게 되면 시스템에 하드 공간 사용량
제한(쿼터)이 되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화일을 올릴수 없게 되며 웹 접속시
로그 화일등이 기록되게 될 경우 로그화일이 하드에 기록이 불가능하므로
웹접속 자체도 안될수 있고, 카운터 화일이 0으로 되는 경우도 있고,
각종 데이터 화일이 0 이 될 수도 있고 CGI 구동시 많은 문제가 발생하는등
치명적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반드시 자신의 계정 현 사용량을
점검하셔야 하며 필요없는 화일을 꼭 지우셔서 여유 공간이 적어도
10 메가 이상은 되도록 유지하셔야 합니다.
필요없는 화일들이 용량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눅스 사용법
ls
ls 명령어는 도스의 dir 명령어와 비슷합니다. 도스를 사용했던 분은 쉽게 익숙해지실 수 있습니다.
ls 는 도스의 dir과 기능상 같은 부류에 속하지만 여러가지 편리한 옵션들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man ls [Enter] 하면 보실 수 있습니다.
ls -al 현재 위치하고 있는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를 화면에 출력하여 주는 옵션입니다.
히든(Hidden) 파일까지 표시해 주며 생성 날짜, 소유주, 소유 그룹, 퍼미션 등 자세한 내용을 함께 나타냅니다.
ls -l 히든 파일을 제외한 모든 파일을 출력
ls -R 하위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나타냅니다. 도스의 dir/s 와 같은 기능입니다.
ls -a 도스에서 dir/w 명령과 같습니다.
cd
도스의 cd와 사용법과 기능이 같습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도스에서는 경로 설정을 \로 구분하지만 하지만 리눅스에서는 / 로 표시합니다.
또 도스에서는 cd..과 같이 붙여써도 되지만, 리눅스에서는 cd .. 과 같이 띄어야 합니다.
mv
도스의 move 및 ren 명령어의 기능을 모두 갖고 있습니다.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이동할 때 쓰이는 명령어입니다.
예) /home/thisfile를 /home/etc/thatfile로 이동, 파일명 변경을 하고자 할 때
mv /home/thisfile /home/etc/thatfile [Enter]
cp
도스의 copy 와 같습니다.
파일 및 디렉토리를 복사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예1) /home/thisfile를 /home/thatfile로 복사하고자 할 때
cp /home/thisfile /home/thatfile [Enter]
예2) [thisdir 이 디렉토리일 때] cp -r /home/thisdir /home/thatdir
즉 복사하고자 하는 소스가 디렉토리일 경우에는 -r 옵션을 첨가합니다.
mkdir
도스의 md 또는 mkdir 명령어와 같습니다.
디렉토리를 만들 때 쓰는 명령어입니다.
예) Information 이라는 이름으로 디렉토리를 만들려 할 때
mkdir Information[Enter]
rm
도스의 rd또는 del명령어와 같습니다.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지우는 명령어입니다. 파일 삭제 뒤에는 복구 기능이 없으므로 신중하게 해야 합니다.
예1) hack 이라는 파일을 삭제할 때
rm hack (\rm hack를 입력하시면 확인하지 않고 삭제합니다.)
예2) hacker 이라는 디렉토리를 삭제하려 할 때
rm -r hacker (역시 \rm hacker와 같이 입력하시면 확인하지 않고 삭제 합니다.)
pwd
현재의 작업 디렉토리가 어디인지를 알아보는 명령어입니다.
예) /home/aaa/ 에서 작업 중일 때
pwd [Enter]
/home/aaa/
현재 작업디렉토리 알아보기
현재의 작업 디렉토리가 어디인지를 알아보는 명령어입니다.
예) /home/aaa/ 에서 작업 중일 때
pwd [Enter]
/home/aaa/
사용자 인증 걸기
디렉토리 사용자 인증에서 아이디 생성방법
아이디 생성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해당 디렉토리를 텔넷으로 접근한다.
2. htpasswd .htpasswd USERID
3. 위와 같이 입력하시면 패스워드를 묻습니다.
4. 다시한번 재확인 합니다.
5. .htaccess파일을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만든다.
AuthName "사용자 인증"
AuthType Basic
AuthUserFile /home/유저ID/html/디렉토리명/.htpasswd
AuthGroupFile /dev/null
require valid-user
위 절차를 끝내시면 아이디가 생성이 되며, 웹브라우저에 해당 디렉토리를
접속을 하려고 하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묻습니다